안녕하세요. 이번글은 미국생활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미국 은행 계좌 개설과 이체업무에대한 간단한 상식 대해서 적어볼까 합니다. 많은 분들이 한국에서 씨티은행카드를 들고 오셔서 쓰시는게 대부분이죠. 물론 저도 한국에서 출국하기전에 미리 은행가서 통장개설하고 국제현금카드를 받아서 왔는데요. 씨티은행 ATM 미국에 정말 많이 있습니다. 특히 7-eleven 편의점은 무조건 있는데요, 하지만 비록 씨티은행 카드가 국제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미국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하다보면 약간의 불편함과 수수료때문에 문제가 될 때도 있답니다.
씨티은행 카드를 미국에서 만든 것과 다른나라에서 만든 것의 차이라고 볼 수 있겠는데요. 미국에서 만든 카드의 경우 아무 문제가 없지만, 한국에서 만들어 왔을 경우 미국에서 씨티은행 ATM을 쓴다 할지라도 수수료가 붙습니다. 국제현금카드이기 때문에,,,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지만..) 그리고 한국에서 원화로 돈을 붙이더라도 미국에서 바로 달러로 돈을 뽑을 수 있는 것의 사용하는데 편리한 점이지만 이게 환율이 변할때마다 돈을 뽑을때 그 금액이 달라지기 때문에 씨티은행 카드를 사용하는 어학연수생들이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랍니다.
그리고 미국에서 있을 동안 비행기나 호텔 예약등을 인터넷으로 할 경우 사용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이 쓸 수 있는게 미국에서 개설한 카드가 좀 더 안전하고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죠. (씨티은행 카드로는 한번도 인터넷 결제를 해보지 않아서 그 문제는 제가 잘 모르겠네요.)
저는 한국에서 미리 달러로 미국에서 사용할 돈을 거의 바꿔놓은 상태라 Bank of America 에서 바로 통장을 개설했죠. 미국에서 머무르고 있는 집 주소, 여권, I-20 만 있으면 통장을 개설하는데는 문제가 없답니다. 미국 은행의 경우 자잘한 업무, 즉 , 현금 인출이나 입금 그리고 계좌 이체 등의 업무는 ATM을 이용하거나 Teller 가 있는 곳에서 하고 나머지 통장 개설이나 이런 굵직굵직한 일은 창구가 아닌 사무실에서 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소파나 의자에 앉아서 기다리고 있으면 메니저가 다가와 어떤 업무를 볼 건지 물어보고 순서를 list에 올려주죠. 그리고 기다리다가 은행직원의 안내를 받아서 사무실로 들어가서 통장을 개설시키면 된답니다. 물론 BOA 뿐만 아니라 Wells fargo 나 Chase 은행등 주요 은행이 많이 있지만 거의 BOA 나 wells fargo가 미국 전역에 걸쳐서 지점이 많기 때문에 이 두 은행을 이용하는게 나중을 생각했을때 가장 좋은 방법이지요. 한국에서 미국으로 달러를 이체해서 돈을 받을경우 한번에 수수료가 5~6만원 정도 들지만 환율이 불안정하고, 돈을 뽑을때마다 수수료 나가는 것을 생각해 봤을때는 그렇게 나쁜방법이지만은 않습니다. (대신 한번 돈을 받을때 많이 받는거죠..ㅎㅎㅎ)
자 그러면 한국에서 미국은행으로 돈은 이체시킬때 주의할 점인데요. 한국은행에 가서 미국은행으로 이체를 하고자 하면 필요한 정보가 몇가지 필요하답니다. 자신이 통장을 개설시킬때 사용했던 자신의 미국에서의 주소, 그리고 그 은행의 주소, 자신의 계좌번호, 그리고 그 은행지점의 고유 Routing n Swift number 인데요. 나머지 정보는 인터넷이나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사용하면 되지만 제일 마지막에 언급한 그 은행지점의 고유번호 같은 경우는 은행에 가서 그냥 Teller 창구에 가서 돈을 한국에서 이체받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라고 얘기하고 물어보면 친절하게 가르쳐 준답니다.
그리고 한가지 유의하실 점은 한국에 돌아가실 때 꼭 통장에 들어있는 돈을 따 빼시고, 계좌를 닫고 가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학생의 경우 통장 유지비가 들어가지 않지만 자신의 I-20기간이 끝날 경우 더 이상 미국에서 학생이 아니기 때문에 통장 유지비가 빠져나가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상 제가 겪었던 불편한 점과 편리했던 점 등을 예로 들어서 적어봤습니다. 처음 미국으로 오시면 환율과 달러가치에 대한 차이 때문에 적응하는데 약간의 에로사항을 조금이라도 빨리 적응하셨으면 하네요. 많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