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롸이팅을 쓰는 구조에대해서 리뷰하겠습니다.
롸이팅의 구조는
1. Introduction
2. Body
3. Conclusion
이 순서입니다. 다들 잘 아시겠지만!
맨 처음 인트로를 쓸 때 이 학원에서는 레터사이즈 페이지의 75%를 채우라고 써있습니다.
대충 어디가 75%인지 감이 오시죠? 반은 넘어야하고 남은 반의 중간정도?....
인트로의 첫번째 줄을 항상 훅을씁니다!
훅은 리더에게 자신이 선택한 주제의 흥미를 이끌 수 있는 문장인데요, 한 두 문장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보통은 한 가지의 훅을 쓰는데 두 가지 이상의 훅을 썼다면 첫 번째에 쓴 스킬이랑 겹치지 않아야합니다.
보통 훅에는 Question, Quotation, Interesting Fact, Interesting statistics를 사용합니다.
그 다음은 배경지식에 대해 설명합니다.
무엇이 주제인지 정의를내리고, 이 주제가 왜 중요한지, 지금은 어떻게 이슈화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씁니다.
그리고 인트로의 마지막은 Thesis를 씁니다!
가장 중요하죠. 바디로 가기 전 바디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한 주제문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장가장 중요해요..!
이건 인트로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Funneling을 사용하여 예시를든것입니다.
처음에 훅, 배경 그리고 thesis statement!
에세이 쓸 때 기본 룰인데요, 이거 안 지키면 선생님이 정말 많이 화가 나십니다...
근데도 불구하고 깜빡하는 요소들이에요...글을 안 써버릇하니까... 간과하기 쉬워요.
첫 번째는 현재형을 쓰는 것! 과거에 일어난 일이라도 이래서 이랬다. 라고 쓰지 이래서 이랬었다.로 쓰면 안 된다는겁니다.
두 번째는 절대 subjective한 단어를 쓰면 안 됩니다. 예를들어 I, we, our, us , you 등... 객관화시켜서 써야한다는 말입니다.
세 번쨰는 문장을 시작할 때 절대로 'but, and, so, or'로 시작하면 안 됩니다.
네 번쨰는 무조건 풀 센텐스로 써야합니다. don't 같은거요. do not으로 써야합니다.
다 섯번째는 숏트 폼을 쓰면 안 되는데요. 예를들면 U.S 같은거요 모두가 아는 숏트폼이라도 풀로 써야한다는거죠.